
오늘은 강의를 듣던 중 넘나 유용해서 정리하게 된 CaseIterable protocol 특집! CaseIterable는 못참지,,, 시작~ CaseIterable protocol 이 프로토콜은 "모든 값들은 컬렉션으로 제공해주는 타입"이에요. 보통 연관값(associated value)가 없는 열거형(Enum) 타입에서 주로 사용하쥬. 이 타입을 사용하면 allCases라는 속성을 통해서 모든 케이스들의 컬렉션에 접근할 수가 있어요. 뭔말이에유? 예시 ㄱㄱㄲㄲ ㄲㄱㄲㄱ 여기 CaseIterable 프로토콜을 채택한 열거형이 있습니다. (연관값 없음) enum CompassDirection: CaseIterable { case north, south, east, west } 이렇게 CaseIterable..

Array에 이어 생각보다 많이 쓰고 있는 Dictionary에 대해 좀 정리해볼게요. 문법 강의만 들을 때는 이걸 어디다가 쓰지,,,했는데 엄청 쓰네,,, 그래서 알아본 Dictionary는 키와 값의 짝으로 이루어진 배열이에요. 처음보는 스탈이라 처음에는 낯설었지만, 쓰다보면 익숙해지더라구여! 이렇게 말이져? var airports: [String: String] = ["YYZ": "Toronto Pearson", "DUB": "Dublin"] key : "YYZ", "DUB" value : "Toronto Pearson", "Dublin" Dictionary 모든 키들은 같은 타입이어야하구요, 마찬가지로 모든 밸류들도 같은 타입이어야 합니다. key는 중복이 불가능(유일한 값)해요! (value는 ..

swift의 컬렉션 타입(Collection Type)에는 총 3개가 있쥬? Array, Dictionary, Set이 되겠습니다. 오늘은 Array(배열)부터 차근 차근 알아가볼게유? Array(배열) 말 그대로 "동일한 특성을 가지며 일정한 규칙에 따라 여러 요소가 나열되어 있는 데이터들의 집합"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. // Array 예시 let names: String = ["Anna", "Alex", "Brian", "Jack", "Anna"] 같은 타입의 요소들만 담을 수 있구요, 배열 내의 요소들은 중복이 가능해요! (순서로 구별) [ ](대괄호) 문법 (subscript)을 쓰며, 접근시에는 index로 접근을 합니다. index는 배열의 첫번째 요소부터 0, 1, 2, 3...으로 순서가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