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지난 번에는 스토리보드에서 탭바컨트롤러를 만들어봤는데요. 스토리보드가 없어도 탭바컨트롤러를 만들 수 있다네여?! 롸?! 그래서 오늘은 스토리보드 없이 UITabBarController 구현하기 입니다. 1. Main연결 삭제하기 프로젝트를 만든 후 제일 먼저 나오는 General 셋팅에 보면 Development Info-Main Interface가 있는데요. 여기에 있는 Main을 삭제해주시면 됩니다. 2. Info.plist에서 스토리보드 항목 삭제 & 스토리보드 삭제 dicator에 있는 Info.plist에서 Storyboard Name 항목도 삭제해주고, 이제 필요없어진 Main.storyboard항목도 Bye~ 그리고 탭바를 두개 만들 예정이니까, 연결할 뷰컨트롤러(ViewController)..

네비게이션 컨트롤러는 스택에 하나 이상의 차일드 뷰를 관리하는 컨테이너뷰 컨트롤러 한 번에 하나의 차일드 뷰컨트롤러만 보임 뷰컨에서 하나의 아이템을 선택하면 (이전 뷰컨트롤러는 숨기면서 ) 새로운 뷰컨으로 넘어가고 백버튼을 누르면 나왔던 뷰컨트롤러는 사라짐 (다시 아래로 숨겨짐) 네비게이션 컨트롤러는 네비게이션 스택이라는 정돈된 배열을 가지고 차일드뷰를 관리 배열의 가장 첫 번째 뷰컨트롤러를 루트뷰컨트롤러라고 하며, 스택에 가장 아래에 있음 배열의 마지막 뷰컨트롤러는 스택에 맨 위에 있고, 현재 보여지고 있는 뷰컨트롤러임 스택에 뷰컨을 segues와 메서드들을 통해 더하고 제거할 수 있음 또한 네비게이션바의 백버튼을 이용하거나, left-edge swipe gesture를 이용하여 가장 위에 있는 뷰컨트..

오늘은 저도 첫 번째 스터디를 통해 배운 너무나 유용한 기능,,, 물론 아직은 기초 단계지만! 제가 배운 걸 적어보겠습니당! foreach는 고차함수라고 배웠는데 알고보니, 메서드네여?! 배열의 각 아이템(요소)을 잘 활용하여 각 아이템(요소)별로 특정 작업을 실행합니다. 어떠한 작업을 할지는 클로저를 통해 개발자가 정해주면 되겠습니다. 이렇게 말해도 무슨 말인지 잘 모르겠쥬? 저 또한 몰랐으니까요? 그래서 간단한 예제를 통해 보여드리도록 하겠습니다. 오늘의 예제는 3개의 레이블을 뷰에 올려보는 간단한 예제입니당. 레이블들을 뷰에 올릴 때 공통으로 해줄 작업이 있져? 바로 addSubview 작업과 오토레이아웃 작업입니다. 이때 foreach문을 쓰면 코드가 엄청 간결해지더라구요! 우선 저의 가장 첫 번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